K-문학의 확산 : 세계와 함께 읽는 한국 문학
"K-문학의 확산 : 세계와 함께 읽는 한국 문학"
- 국립중앙도서관·국립한국문학관 오는 13일(금) 공동학술대회 개최,
식전 행사로 소설가 '윤고은', '편혜영'의 작가 대담도 열려-
국립중앙도서관·국립한국문학관은 10월 13일(금) 오후 1시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이미륵’부터 ‘차학경’까지, 세계적으로 활약한 한국 작가를 조명하는 ‘K-문학의 확산 : 세계와 함께 읽는 한국 문학’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한다.
2부에서는 세계 각 지역에서 활약한 한국계 작가들의 작품을 한국 문학의확산과 변환, 소통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강원대학교 정주아 교수는 ‘모국의 기억과 이국의 언어’라는 주제로 김은국, 김용익의 문학을, 서울대학교 김정하 교수는 ‘경계인의 시선과 세계문학의 지평’이라는 주제로 이창래, 이민진, 수잔 최의 작품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중앙대학교 정은경교수는 차학경 문학의 문제성과 현재성을 논의한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는 최근 고문헌의 범위를 확대하여 해방 이전 자료들까지 전문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소개되는 이미륵 자료뿐만 아니라 가치 있는 근대 문헌 자료들을 모든 국민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원문 디지털화 등을 통해 이용자 편의를 확대할 계획이다.
김일환 국립중앙도서관장 직무대리는 “이번 학술대회가 국립중앙도서관과국립한국문학관 양 기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 문학을 알린작가들이 다양한 시선에서 조명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립한국문학관 문정희 관장은 “국립한국문학관은 그동안 김소운, 하동호,김규동, 박화성, 김용직 등 문인들의 소장자료를 기증받아 보존·복원하고 있다”며 “특히 김소운은 일본에 조선 문화를 소개한 최초의 문화기획자이며최초의 한류 조성자로,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김소운 자료의 학술적 의미와 가치를 찾아보고 세계 속으로 뻗어나가는 한국 작가의 위상과 경험 등을 확인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한국문학관
김수한 사무국장(☎ 02-6203-4062) 또는 기획운영부 김소연(☎ 02-6203-407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는 국립한국문학관 사무국에서 배포하는 보도자료임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