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문학관 협력사업

국립한국문학관(27년 상반기 공식 개관)은 전국 100여개 지역문학관과 협력해 지역 문화 활성화와 문학 진흥 등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역문학관과의 협력사업을 통해 국립한국문학관은 중앙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 문학관 협력망 구축을 공고화하고 있습니다. 지역 문학관들이 각 지역의 문학 유산을 발굴·보존하고 케이-문학 유산의 우수성과 예술적 확장 가능성을 알리는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지원합니다.

국립한국문학관은 2025년 4월 대한민국 문학축제에 함께 참여할 경남문학관(창원), 김유정문학촌(춘천), 대전문학관(대전), 목포문학관(목포), 석정문학관(부안), 신동엽문학관(부여), 요산김정한문학관(부산), 이육사문학관(안동), 제주문학관(제주) 등을 권역별로 대표 문학관을 선정했습니다. 지역 문학관은 작가, 출판사, 서점, 문학 관련 단체들과 함께 문학 생태계를 튼튼히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 경남 문학관

    경남 (창원)

    경남문학관 이미지

    작가의 어린 시절의 추억과 삶이 깃든 골목길을 독자와 함께 걷고 상상하는 <경남을 걷다, 문학을 펼치다!>

    • 경남 진해를 소재로 한 수필 「엄마의 골목」을 창작한 김탁환 소설가를 초청한 문학 토크 콘서트
    • ‘찾아가는 문학축제’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문인 시화집 전시 및 발행 등
  • 김유정문학촌

    강원 (춘천)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문학과 연극이 결합된 실레마을 이머시브 프로젝트 <소설 밖으로 나온 김유정>

    • 김유정의 대표작 「봄··봄」, 「동백꽃」 이야기를 연극형 관람객 참여 프로그램으로 구성. 김유정의 소설을 관람객이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대전문학관

    대전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대전문인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눈물의 시인 박용래>

    • 대전 지역의 대표 서정시인 박용래(1925~80)의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행사
  • 목포문학관

    전남 (목포)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시월애 문학여행, 골목길 문학축제@목포>

    • 북교동, 차범석길, 문학인 생가 등 목포의 근대문학 자원을 활용한 지역민 참여형 골목길 문학 축제
  • 석정문학관

    전북 (부안)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신석정의 노래: 자연과 조화를 꿈꾸는 문학관>

    • 신석정의 시와 산문, 일기 속 언어를 재조명하고 AI로 재구성한 기획전시
    • 청소년들이 신석정의 시를 랩으로 즐길 수 있는 힙합음악제
    • 신석정의 작품을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되새기는 문학포럼
  • 신동엽문학관

    충남 (부여)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신동엽문학관 문학축제 <작은 마당 짧은 공연>

    • 신동엽 작가의 작품을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게 공연예술로 경험하는 전시, 단막극, 낭독공연
  • 요산김정한문학관

    부산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모래톱 이야기」, 웹툰으로 피어나다>

    • 김정한의 대표작 「모래톱 이야기」를 웹툰으로 제작하여 관람객이 친숙하게 접근하도록 유도
    • 청소년,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이육사문학관

    경북 (안동)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광야」, 「꽃」 발표 80주년 기념 <문학과 함께, 이육사와 함께>

    • 이육사의 고향 마을에 ‘이육사로드’를 개발해 지역민과 함께 ‘걷기대회’개최
    • 작가의 대표작인 「광야」, 「꽃」을 K-POP 스타일의 미디어 아트로 제작·전파
  • 제주문학관

    제주

    김유정문학촌 이미지

    ‘제주, 세계평화의 섬’ 지정 20주년 기념, <'작별하지 않는 사람들' 문학행사>

    • ‘제주, 세계평화의 섬’ 지정 20주년 기념, 아시아의 노벨상 수상자인 인도의 ‘타고르’와 한국의 ‘한강’을 다각도로 조망한 특별전시 및 연계 심포지엄 제시